*이 글은 생성형AI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LKAS 카메라 설치
현대 GSW 아반떼AD > 2016 TCI-U2 > 전장회로도 > 회로도 > 바디 전장 > 차선 이탈 경보 장치(LDWS)
CAT. | NAME | PART NO. | NOTE |
M/F CAM |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 | 95895F2000 | |
BRACKET | 브라켓-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 | 95896D4000 | |
COVER | 커버-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 | 95897F2000 | |
ADHESIVE | 3M HRS101 양면테이프 |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전의 레이더를 비롯한 전체 배선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카메라만 바로 붙여도 되긴하지만 LKAS 커버와 커플러 다해서 만원 이하로 굉장히 저렴하니, 커버와 커플러를 구입후 전면 유리에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카메라 설치를 전제로 한 사양의 전면 윈드실드 유리가 따로 있습니다. 그러나, 카메라 하나 달자고 멀쩡한 유리를 바꾸고 새로 틴팅 할 수는 없으니 레이더 설치 때 그러했듯 기존 유리를 최대한 활용하겠습니다. 설치는 중앙 부근 어딘가에 대충 설치하시면 됩니다. 좌 우측 방향 쏠림은 아무래도 큰 상관이 없는 듯 합니다. (순정 사양도 조금 조수석쪽으로 치우쳐 있음) 대신 카메라가 온전히 정면을 볼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메라 설치될 곳의 틴팅을 제거하겠습니다. 카메라를 양면 테이프로 붙인 이후에는 카메라 시야가 닿는 영역의 틴팅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틴팅을 제거할 영역과 최대한 비슷한 가이드을 설계하여 3D 프린터로 출력합니다. 카메라 브라켓 + 카메라+ LKAS 커버 모두 조립하여 ASSY로 만들고, 출력한 가이드를 카메라 ASSY에 붙여줍니다. 이후 카메라가 설치될 곳에 이 가이드가 위치하도록 합니다. 혼자 작업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편리합니다.
- 가이드와 카메라를 절연테이프로 임시고정, 가이드와 유리 고정할 테이프 미리 가이드에 붙여두기
- 카메라 ASSY 위치 결정(LKAS COVER + 차량 헤드라이너에 배선을 위해 커팅된 곳을 참고)
- 한 손으로 카메라 ASSY 고정, 나머지 손으로 가이드에 붙여둔 테이프를 유리에 붙이기
- 카메라 ASSY와 가이드 고정하던 테이프 제거
- 가이드에 따라 틴팅 제거
사실 틴팅 제거는 필수가 아닐 수 있습니다. 틴팅 제거하지않고 테스트 주행 5000km정도 해 봤을때도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저는 야간 성능 + 약간의 드레스업 느낌으로 카메라 설치된 곳의 틴팅을 제거했습니다. 틴팅 제거는 완벽했으나, 양면테이프 접착면이 눈에 띕니다. 밖에서 봤을때 생각보다 깔끔하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건 제가 차주여서 더 보이는듯하고, 모르는 사람이 보면 모를 정도입니다.
AD 설계시부터 레인센서 혹은 LDWS 탑재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건지 천장 헤드라이너 부분에 배선 자리가 2군데 나 있습니다. 여기서는 운전석 쪽에 카메라가 위치하도록 했습니다.
WIRING
BOM_WIRING HARNESS
TYPE | EA | USAGE | NOTE |
1-1534229-1 | 1 | E85 | RADAR |
AMP025_F | 13 | JM02,MR11 | C-CAN, HARNESS CONN. |
AMP025_M | 7 | MR11 | A-PILLAR(LH) |
HRS025_F | 1 | M26 | CRASHPAD S/W |
KET020_F | 7 | R11 | M/F CAM |
KET025II_F | 5 | EM11 | FLOOR HARNESS CONN. |
KET025II_M | 5 | EM11 | FLOOR HARNESS CONN. |
FABRIC TAPE |
카메라
현대 GSW 아반떼AD > 2016 TCI-U2 > 전장회로도 > 회로도 > 바디 전장 > 차선 이탈 경보 장치(LDWS)
* C-CAN 조인트 커넥터는 JD21로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JM02(JD21은 사이드미러 관련 커넥터)
⚠WARNING
C-CAN 조인트 커넥터(JM02)는 대시보드 가장 안쪽에, 카메라 전원 커넥터(I/P-D)는 스마트 정션블록 후면에 있습니다.
둘 다 대시보드를 들어내야 합니다. 참고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대시보드 탈거 및 조립에 최소 4시간 소요됩니다.
배선작업은 현대 GSW에 안내된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하네스 커넥터 관련해서는 훼사원 유튜브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순정 배선은 정비 용이성 및 생산성, 옵션 관리 등의 목적으로 하네스가 만들어집니다. 카메라는 운전석 A 필러의 커넥터(MR11)을 통해 메인 하네스에 연결됩니다. 따라서 기존 MR11 하네스 연결 커넥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카메라 배선을 내 주도록 합니다. 좀 많이 귀찮더라도 순정 회로도를 최대한 준수하는 게 좋습니다. 개인이 DIY하는 경우 추후에 자신이 어떻게 배선했는지 종종 잊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레이더
카메라와 거의 비슷합니다만 GSW 순정 배선과 약간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차량 범퍼 부근 커넥터(EE01)를 사용하는 대신, 관련 배선이 바로 실내로 인입됩니다. 차량에 EE01 커넥터가 없어 이렇게 작업했으며, 이 커넥터도 순정 따라가게 하려고 범퍼 한 번 더 내릴 수는 없어서 이대로 작업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전면충돌사고 크게 나서 E85 커넥터 손상 시 실내까지 배선을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제보니 좀 귀찮더라도 EE01을 통해 레이더를 연결할 걸 그랬습니다. 사고 안나기를 기원하며 나중에 작업해야겠습니다.
DONE!
배선이 한 번에 끝나지 않아서 한동안 저 상태로 타고다녔습니다. NO 에어컨 NO 통풍시트 NO 카오디오 상태로 운행하니 역체감이 엄청나더군요...배선까지 완료되었다면 이제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진단기를 통해 제동제어시스템(SCC/AEB), 멀티펑션 카메라와 통신 시도해보겠습니다. 연결 성공 메시지가 뜨면 제대로 작업한겁니다.
인식이 안된다면 다음 내용을 점검해보세요.
CAN 라인 연결 순서를 거꾸로 하지 않았는지
커넥터 간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카메라(I-P/E), 레이더(I/P-D) 가 연결된 스마트 정션블록의 모듈4, 자동제동 퓨즈가 각각 정상인지
이제 H/W적으로는 더이상 손볼 일이 없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카메라 코딩 및 SCC 레이더 보정하는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유익했다면 하단 배너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감사함을 표현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